본문 바로가기
건강

갑상선호르몬

by kokojoom 2023. 5. 7.
반응형

갑상선이란

 

갑상선호르몬이라는 물질을 분비하는 우리 몸의 내분비기관(분비샘) 중 하나입니다. 목의 한가운데 앞으로 튀어나온 물렁뼈(갑상연골) 바로 아래쪽에서 숨통(기관)의 주위를 나비 모양으로 둘러싸고 있으며 정상인에게서는 겉으로 보이지 않고 만져지지도 않습니다.

 

한쪽 날개의 크기는 넓이 1~2cm, 두께 2~3cm, 높이 5cm 정도 되고, 무게는 모두 합해서 15~20g 정도입니다. 보통은 근육으로 둘러싸여 있어서 겉으로 봐서 볼 수 없고 거의 만져지지 않습니다. 나비 모양인 2개의 좌우 양 날개와 이 날개를 서로 연결하는 좁은 연결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뒤쪽으로 부갑상샘이 좌우 2개씩 모두 4개가 붙어 있습니다.

 

갑상선 호르몬

갑상선 호르몬은 우리 몸의 신진대사를 조절하는 기능을 갖고 있습니다.

 

갑상선 호르몬이 많이 분비되면

-> 몸은 더워지고 땀이 많이 나고 살이 마릅니다.

-> 자율신경이 흥분해서 심장이 빨리 뛰고 위장의 운동속도가 빨라져 대변을 자주 보거나 설사하게 됩니다.

-> 신경이 예민해지고 몸이 떨리는 증상이 나타납니다.

 

갑상선 호르몬이 적게 분비되면

-> 대사가 감소하여 춥고 땀이 나지 않고 얼굴과 손발이 붓고 체중이 증가합니다.

-> 자율신경이 둔해져서 맥박이 느려지고 위장 운동이 느려져 변비가 생깁니다.

-> 정신활동도 저하되고 말이 느리고 어둔해집니다.

 

 

이런 갑상선 호르몬의 분비는 뇌 속에 있는 뇌하수체의 조절을 받고 있으며, 뇌하수체는 갑상선자극호르몬을 분비하여 갑상선의 기능을 조절하는데 그 결과 갑상선 호르몬은 언제나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우리 몸의 다른 기관들과 마찬가지로 갑상선에도 여러 종류의 병이 생깁니다.

 

1. 호르몬의 문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갑상선은 갑상선 호르몬을 생산하여 분비하는 곳이므로 갑상선에 병이 생기면 갑상선 호르몬의 생산과 분비에 변화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갑상선 호르몬이 과다하게 생기는 경우를 갑상선기능항진증, 부족해지는 경우를 갑상선기능저하증이라고 합니다.

 

그레이브스병(Graves' disease, toxic diffuse goiter)은 갑상샘에 영향을 미치는 자가면역질환의 하나입니다. 갑상샘과다증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병인이자 질병입니다. 이 병으로 말미암아 갑상선종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그레이브스병의 증상은 갑상선 기능 항진증의 직접 및 간접적인 영향으로 발생합니다. 결과적으로 나타나는 갑상선 기능 항진증의 증상에는 주로 불면증 , 손 떨림 , 과잉 행동 , 탈모, 심한 발한 , 가려움증, 설사 , 빈번한 배변 , 근력 약화가 있습니다.

 

2. 호르몬 생산에는 아무런 이상이 없는 경우

1) 단지 갑상선만 전체적으로 커지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단순 갑상선종()이라고 합니다.

2)갑상선의 어느 부분만 커져서 혹을 만드는 경우를 갑상선 결절 혹은 갑상선 종양이라고 부릅니다.

 

갑상선 종양에는 양성 종양(몸에 해가 없는 것), 악성 종양(), 낭종(물혹) 등이 있습니다.

 

3)한편 갑상선이 전체적으로 커지는 종류로 갑상선염이 있는데 원인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고, 대부분 갑상선 호르몬 생산은 정상이지만 간혹 갑상선기능저하증 또는 갑상선기능항진증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갑상선호르몬을 만들기 위해서는 요오드가 필요합니다. 체내에는 타이로신 이라는 아미노산이 있는데 여기에 요오드를 붙여 갑상선호르몬을 만듭니다.

타이로신에 요오드를 4개 혹은 3개를 붙인 후 T4T3로 불립니다. 이 호르몬들은 순차대로 분비되고 조직 말단에서 T4T3로 변환이 되고 나서야 갑상선 호르몬으로서의 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갑상선에서 분비되는 T4 호르몬은 갑상선 이외에도 간을 비롯한 신장, 소장, , 심장 등 여러 장기들에서도 T3로 변환됩니다. 이렇듯 갑상선호르몬은 갑상선을 비롯한 장기들에 결합되어 저장되기도 하는데, 그래서 갑상선이 아닌 다른 장기의 이상은 갑상선 질환이 일어나는 원인이 될 수도 있습니다.

 

갑상선호르몬은 뇌의 시상하부에서 갑상선자극 호르몬을 방출하게 하는 TRH호르몬을 분비하여 뇌하수체를 먼저 자극하면서 갑상선호르몬이 분비되게 됩니다.

 

시상하부 뇌하수체 갑상선 대사

 
반응형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장  (0) 2023.05.14
폐기종(emphysema)  (0) 2023.05.12
자궁내막증과 자궁내막증식증  (0) 2023.05.09
대장용종  (0) 2023.05.07
헬리코박터균과 요소 호기 검사 (Urea Breath Test; UBT)  (0) 2023.05.07

댓글